001.4차 산업혁명과 코딩 - 우리 아이들의 미래

 

조용한 혁명

1차 산업혁명과 수학


수학은 본래 왕과 귀족들이 권력을 지키고자 했던 교양과목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1차 산업혁명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됩니다.
제임스와트가 증기관을 발명하며 농업 중심 사회 -> 산업 중심 사회로 변화하면서
대규모 공장이 생겨나고 자본가들은 노동자를 고용해 큰 이득을 취했습니다.

이런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능력이 요구되기 시작하였는데,
바로 시계를 보고, 길이를 측정하고, 덧셈,뺄셈 등의 산수 능력,
즉 수학을 할 줄 알아야만 했습니다.

이로써 국가적인 발전과 시대적 요구에 따라 노동자를 포함한 일반인들도
수학 교육을 받게 되었고 모든 사람의 필수 과목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딩


매년 1~2월에는 다보스포럼이라고 하는 세계경제포럼 열립니다.
다보스 포럼의 창립자이자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은 4차 산업혁명이
우리의 행동양식 뿐만 아니라 정체성에도 변화를 미칠거라고 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는 많은 곳에서 설명하고 있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정의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인 정의는 IT의 비약적인 기술 발전으로 인한
우리 삶 속에 깊숙히 영향력을 발휘하는 산업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중 몇몇
제품들은 A.I(인공지능)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또한 모든 산업구조들이 IT의 기술력과 연결되어 있어 소프트웨어(코딩)
마치 1차 산업혁명 시대의 수학과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세계적으로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8~19년도 부터 코딩 교육이 필수 과목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코딩을 꼭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만 하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코딩을 모른다면 그 아이가 미래에 펼칠 수 있는 큰 가능성 한가지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특정 과목이 공교육으로 들어오게 되면
성적과 점수로만 판단하는 방식으로 변질되고 여기에 학부모들의 불안심리를
이용해 사교육 시장도 더 과열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것이 소프트웨어 교육이 나아고자 하는 방향과
다를 수 있어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부디 지금 세대의 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교육도 그에 맞춰 잘 이루어지길 바래봅니다.

시작된 미래 e, EBS
해당 포스팅은 다음의 도서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