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4.인공지능의 미래

인간 VS 인공지능 2016년 3월 전세계가 주목한 대결이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은 더더욱 주목할 수 밖에 없는 대결이었죠. 바로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7전 4승 바둑 대결이었습니다. 결과는 1승 4패, 인간의 참패였습니다. 체스 보다도 훨씬 더 규칙이 복잡하고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는 바둑의 영역은 아무리 인공지능이라 하더라도 인간을 이기기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 결과를 지켜본 사람들은 경이로움과 두려움이 공존했을 것입니다. 영화에서만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인공지능의 모습이 이제 점점 더 현실과 가까워지는 순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관...

더보기

013.창과 방패의 대결

바이러스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프로그램, 데이터 파일 등을 파괴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생물학적으로 바이러스 역시 숙주를 삼아 자기 증식을 하는 것처럼 컴퓨터의 바이러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바이러스와 비슷한 의미로 악성코드, 멀웨어 등이 있지만 그것들은 목적, 감염방법, 치료방법이 모두 조금씩 다릅니다. 바이러스의 역사에서 발전 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제1세대 원시형 바이러스 제2세대 암호화 바이러스 제3세대 은폐형 바이러스 제4세대 갑옷형 바이러스 제5세대 매크로 바이러스 감염 대상에 따라서는 부트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 부트/파일 바이러스 등으로 분류됩니다. 최초의 컴퓨터 바이러스로 보...

더보기

012.완전무결을 꿈꾸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탄생 1999년 9월 19일 영국의 ‘선데이타임즈’는 영국 은행들이 해커들의 협박에 굴복해 거액의 돈을 지불했다는 기사를 발표합니다. 해커들의 의해 대량의 고객정보가 해킹된 은행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해커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는 엄청난 거액이 오갈만큼 기업과 고객의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데이터베이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3년 6월 미국 시스템개발연구소에서 였습니다. 당시에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파일을 의미하는 말로 쓰였는데 찰스 윌리엄 바크만에 의해 현대적 의미의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확립했습니다. 자료를 뜻하는 데이터와 기반을 의미하는 ...

더보기

011.오류 검출 코드 - 패리티코드,해밍코드

오류 검증 번호 주민등록번호의 마지막 숫자, 상품 바코드의 마지막 숫자, 운전면허증의 마지막 두개의 숫자 이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시나요? 바로 오류 검증 번호입니다. 앞에 쓰여진 숫자들이 제대로 구성이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번호입니다. 일련의 수식들을 통해 오류 검증 번호가 생성됩니다. 패리티 검사 컴퓨터도 마찬가지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오류를 매번 찾아내고 수정하는 것이 굉장히 번거로운 일이 되었는데요. 그래서 컴퓨터가 스스로 오류를 찾아낼 수 있도록 많은 사람들이 노력했습니다. 오류 검사 코드라는 방법으로 오류를 고치는데, 이것은 오류를 찾아내는 오류 검출 코드와 이를 수정하는 오류 정정 코드로 이...

더보기

010.컴퓨터의 역사

컴퓨터의 역사 인류 최초의 연산장치는 주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판 외에 새로운 계산장치가 등장한 것은 1642년입니다. 파스칼리느라는 수동 계산기인데, 블레즈 파스칼이 개발했습니다. 맞습니다. 이 사람이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라는 명언을 남긴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입니다. 파스칼 이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조금 더 정확도 높은 계산기를 발명하였고 본격적인 기계식 컴퓨터의 모습으로 발전해 나갔습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발명가인 찰스 배비지는 카드에 구멍을 뚫는 천공카드의 개념을 도입해 연산뿐만 아니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에 부딪혀 발명에...

더보기

009.컴퓨터의 스무고개

정보의 가치와 정보량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우리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보의 양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단순이 설명이 많으면 양이 많은걸까요? 두 사람이 당신에게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A. 나는 내일 잠을 잘거야. B. 나는 내일 화장실에서 잠을 잘거야. 과연 어떤 정보가 더 놀라운가요? A의 일은 당연하게 발생하겠지만 B는 발생할 확률이 낮아보입니다. 정보의 양은 확률과 관련있습니다. 발생할 확률이 낮은 정보를 더 많은 정보량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즉, 불확실성이 높은 수록 정보량이 많다고 이야기합니다. 당연히 발생하는 일, 누구나 예측하고 기대할 수 있는 일은...

더보기

008.세상을 밝힌 논리식

논리학의 창시자,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창시자는 아리스토텔레스입니다. 그의 대표적인 간접 추리논법인 삼단논법은 논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대전제와 소전제를 통해 결론에 이르는 방법입니다. A=B이다. C=A이다. 그러므로 C=B이다. 삼단논법은 정언삼단논법,가언삼단논법,선언삼담논법으로 구분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정언삼단논법입니다. 삼단논법의 궁극적 목표는 논리적사고에 의한 진리 추구입니다. 기호 논리학의 창시자, 조지 불 19세기에 이르러 이러한 논리적 사고를 수식으로 나타내 연산을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나타납니다. 그가 바로 영국의 수학자이...

더보기

007.인터넷의 시작

인터넷의 시작, 아르파넷 인터넷은 1969년 미국 국방성 산하 고등연구계획국이 설립한 아르파넷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아르파넷은 전쟁 중에 적의 공격으로 통신망이 파괴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습니다. 그래서 미국 정부과 전문가들이 ‘패킷 교환 방식’을 개발하게 됩니다. 파일을 일정한 크기의 패킷들도 나누어 여러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면 원래의 파일로 재조립되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회선망 중 일부의 문제가 생기더라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이 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LA캠퍼스에서 600km 떨어진 스탠퍼드대학 연구소에 다섯 글자로 이...

더보기